반응형
지난 편 복습 🔄
지난 시간에 기획자처럼 생각하는 4단계를 배웠죠?
- 문제 정의 → 2. 원인 분석 → 3. 해결책 도출 → 4. 실행 방안
오늘은 이 사고법을 실제로 연습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을 알려드릴게요!
바로 "역기획"이에요! 🕵️♀️
🔍 역기획이 뭐예요?
역기획 = 이미 만들어진 서비스를 뜯어보면서 기획 의도를 찾아내는 것
쉽게 말해서 "기획자 탐정놀이" 예요!
일반적인 오해:
- "UI만 따라 그리는 것"
- "화면 설계만 분석하는 것"
- "디자인이 예쁜지 못생겼는지 평가하는 것"
진짜 역기획:
- "왜 이렇게 만들었을까?" (의도 파악)
- "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을까?" (목적 분석)
- "사업적으로 어떤 효과를 노렸을까?" (전략 이해)
🎯 역기획의 3단계 프로세스
Step 1: 비즈니스 모델 파악하기
"이 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?"
- 누가 고객인가? (사용자 vs 실제 고객)
- 수익원은 무엇인가? (광고, 구독, 수수료 등)
-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?
Step 2: 핵심 기능 분석하기
"왜 이 기능이 있을까?"
- 사용자 여정 따라가보기
- 각 단계별 기획 의도 추측하기
- 데이터 수집 포인트 찾아보기
Step 3: 숨겨진 전략 찾기
"겉으로 안 보이는 기획이 있을까?"
- 의도적인 불편함은 없는가?
- 사용자 행동 유도 장치는?
- 경쟁사와의 차별화 포인트는?
📱 실전 역기획: 유튜브 파헤치기
모두가 아는 유튜브로 역기획을 연습해봐요!
🤔 궁금한 점들
- 왜 광고를 5초 후에 스킵할 수 있게 했을까?
- 왜 무한 스크롤로 만들었을까?
- 왜 자동재생 기능이 있을까?
- 왜 좋아요 개수를 보여줄까?
Step 1: 비즈니스 모델 분석
유튜브의 수익원:
- 광고 수익 (주요 수익원)
-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
- 슈퍼챗, 멤버십 등
핵심 고객:
- 시청자 (콘텐츠 소비)
- 크리에이터 (콘텐츠 제작)
- 광고주 (광고 집행)
유튜브의 목표: 시청 시간 최대화 = 광고 노출 증가 = 수익 증가
Step 2: 핵심 기능의 기획 의도
🕒 5초 후 광고 스킵 기능
- 겉으로 보이는 것: 사용자 편의
- 진짜 의도:
- 5초는 브랜드 인지에 충분한 시간
- 너무 짧으면 광고주 불만, 너무 길면 사용자 이탈
- 스킵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끝까지 볼 확률 높음
🔄 무한 스크롤 & 자동재생
- 목적: 시청 시간 늘리기
- 심리 효과:
- 명확한 끝점이 없어서 계속 보게 됨
- 다음 영상이 자동으로 재생되어 이탈 방지
- "한 개만 더" 심리 활용
👍 좋아요/구독 표시
- 목적: 참여도 높이기
- 효과:
- 크리에이터 동기부여
- 알고리즘 학습 데이터 수집
- 사회적 증거 효과 (많은 좋아요 = 좋은 콘텐츠)
Step 3: 숨겨진 전략
🎯 추천 알고리즘의 비밀
- 시청 완료율이 높은 영상을 우선 추천
- 사용자별 취향 데이터 수집하여 맞춤형 추천
- 새로운 크리에이터에게도 기회 제공 (생태계 확장)
🔔 알림 기능의 진짜 목적
- 앱으로 다시 불러들이기
- 습관적 사용 패턴 만들기
- 실시간 참여도 높이기
🍔 실전 역기획: 배달의민족 분석해보기
이번엔 배달의민족을 같이 분석해봐요!
🤔 궁금한 기획들
- 왜 재미있는 카피를 쓸까?
- 왜 리뷰 사진을 강조할까?
- 왜 배달팁을 따로 받을까?
- 왜 최소주문금액이 있을까?
역기획 분석 결과
🎨 재미있는 카피와 디자인
- 목적: 브랜드 차별화
- 효과:
- 기억에 남는 브랜드 이미지
- SNS 바이럴 효과
- 젊은 층 타겟팅
📸 리뷰 사진 강조
- 목적: 구매 확률 높이기
- 심리 효과:
- 실제 음식 모습 확인 (신뢰도 증가)
- 사회적 증거 효과
- 시각적 자극으로 구매 욕구 증진
💰 배달팁 & 최소주문금액
- 목적: 수익성 확보
- 효과:
- 소액 주문으로 인한 손실 방지
- 배달 효율성 증대
- 객단가 상승 유도
🏃♂️ 실습: 내가 자주 쓰는 앱 역기획하기
미션: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는 앱 하나를 선택해서 역기획해보세요!
추천 앱들:
- 인스타그램, 틱톡, 카카오톡
- 쿠팡, 네이버쇼핑, 11번가
- 카카오뱅크, 토스
- 넷플릭스, 멜론, 스포티파이
역기획 템플릿
선택한 앱: _________________
Step 1: 비즈니스 모델 파악
- 수익원은?
- 주요 고객은?
- 핵심 목표는?
Step 2: 궁금한 기능 3가지 선택
- 기능: _________ →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?
- 기능: _________ → 어떤 효과를 노렸을까?
- 기능: _________ → 사용자에게 어떤 행동을 유도하나?
Step 3: 숨겨진 전략 찾기
- 의도적인 불편함이 있다면?
- 데이터는 어떻게 수집하나?
- 경쟁사와 어떻게 차별화하나?
💡 역기획 고수가 되는 꿀팁
1. 사용자 vs 고객 구분하기
- 사용자: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
- 고객: 실제로 돈을 지불하는 사람
- 예: 구글 검색 (사용자 ≠ 고객인 광고주)
2. 데이터 관점에서 생각하기
- "이 버튼을 누르면 어떤 데이터가 수집될까?"
- "이 정보는 어떻게 활용될까?"
- "왜 이 항목을 필수로 입력받을까?"
3. 경쟁사와 비교해보기
- 같은 기능도 서비스마다 다르게 구현
- 차별화 포인트 찾아보기
- 벤치마킹 vs 차별화 전략 파악
4. 사업적 관점 잊지 않기
- "이게 매출에 어떻게 도움이 될까?"
- "비용 대비 효과는?"
- "장기적 전략은 뭘까?"
🎯 역기획의 진짜 가치
"역기획을 하다 보면
성공한 서비스들의 기획 노하우를
내 것으로 만들 수 있어요"
역기획으로 얻는 것들:
- 기획 센스 향상: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이해
- 사업적 사고: 수익과 연결된 기획 이해
- 사용자 심리: 행동 유도 메커니즘 학습
- 전략적 사고: 경쟁 우위 요소 파악
🚀 다음 편 예고
다음 편에서는 "내 생각을 말로 정리하는 법"을 다뤄볼게요!
- 복잡한 생각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방법
- 논리적 흐름 만들기
- 상대방을 설득하는 구조
- 3분 기획 프레젠테이션 실습!
오늘 역기획 실습 결과를 댓글로 공유해주세요! 여러분이 발견한 기획의 비밀이 궁금해요 🕵️♀️
기획의 비밀을 찾는 탐정이 된 기분이죠? 이제 여러분도 기획 고수의 길로! 🌟
반응형
'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✍️ 여섯 번째 글: "기획서를 빛나게 하는 마법 - 고급편" (0) | 2025.08.19 |
---|---|
✍️ 다섯 번째 글: "첫 기획서 도전하기 - 기초편" (5) | 2025.08.14 |
✍️ 네 번째 글: "내 생각을 말로 정리하는 법" (4) | 2025.08.13 |
✍️ 기획 두 번째 글: 기획자처럼 생각하기 - 사고의 전환 (4) | 2025.07.30 |
✍️ 기획 첫 번째 글: 기획이 뭐예요? - 기획의 첫걸음 #1 (2) | 2025.07.2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