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기획

✍️ 기획 두 번째 글: 기획자처럼 생각하기 - 사고의 전환

by 코개 2025. 7. 30.
반응형

지난 편 요약 📝

지난 시간에 기획의 기본 개념과 3W(Why, What, Who)에 대해 배웠죠?

기획이 "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"이라는 걸 이해하셨나요?

오늘은 한 단계 더 나아가서 **"어떻게 하면 기획자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?"**에 대해 알아볼게요!


🧠 기획자 vs 일반인, 생각의 차이점

같은 상황을 봐도 기획자와 일반인은 다르게 생각해요.

상황: 카페에서 주문 대기시간이 너무 길다

일반인의 생각:

  • "아, 짜증나. 왜 이렇게 오래 걸려?"
  • "직원을 더 뽑으면 되는데..."
  • "다른 카페로 갈까?"

기획자의 생각:

  • "왜 대기시간이 길까? 주문량 vs 처리능력 분석해보자"
  • "고객들은 몇 분까지 기다릴 수 있을까?"
  • "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은? 아니면 대기 경험을 개선할 방법은?"
  • "비용 대비 효과는? 우선순위는?"

차이가 보이시나요? 기획자는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생각해요!


🎯 기획적 사고의 4단계

1단계: 문제 정의하기

"진짜 문제가 뭘까?"

  • 겉으로 보이는 문제 vs 근본적인 문제
  • 누구에게 문제인가?
  • 언제부터 문제였나?

예시:

  • 겉으로 보이는 문제: 주문 대기가 길다
  • 근본적인 문제: 주문 프로세스가 비효율적이다

2단계: 원인 분석하기

"왜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?"

  • 5 Why 기법 활용
  • 여러 각도에서 원인 찾기
  • 데이터나 사실 기반으로 판단

5 Why 예시:

  1. 왜 대기시간이 길까? → 주문 처리가 느려서
  2. 왜 주문 처리가 느릴까? → 메뉴판이 복잡해서
  3. 왜 메뉴판이 복잡할까? → 메뉴가 너무 많아서
  4. 왜 메뉴가 많을까? → 고객 니즈를 모두 반영하려고
  5. 왜 모든 니즈를 반영하려고 할까? → 매출 극대화 전략

3단계: 해결책 도출하기

"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?"

  • 여러 대안 생각하기
  • 단기 vs 장기 솔루션
  • 비용과 효과 고려하기

해결책 예시:

  • 단기: 인기 메뉴 우선 배치, 사전 주문 시스템
  • 장기: 메뉴 간소화, 키오스크 도입

4단계: 실행 방안 구체화하기

"실제로 어떻게 실행할까?"

  • 우선순위 정하기
  • 필요한 자원 계산하기
  • 성공 지표 설정하기

🔄 문제 중심 vs 기술 중심 사고

많은 초보자들이 빠지는 함정이에요!

❌ 기술 중심 사고

  • "AI를 활용한 서비스를 만들어보자"
  • "블록체인 기술을 써서 뭔가 해보자"
  • "요즘 VR이 핫하니까 VR 서비스를 만들자"

✅ 문제 중심 사고

  • "사람들이 어떤 불편함을 겪고 있을까?"
  • "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?"
  • "기술은 문제 해결의 수단 중 하나"

핵심: 기술은 도구일 뿐, 문제가 먼저예요!


💡 가설-검증 사고법

기획자는 항상 **"이럴 것이다"**라고 가정하고, "정말 그런지" 확인해요.

가설 세우기

  • "고객들은 5분 이상 기다리면 떠날 것이다"
  • "메뉴를 3개로 줄이면 주문시간이 50% 단축될 것이다"
  • "사전 주문 시스템을 도입하면 고객 만족도가 올라갈 것이다"

검증 방법

  • 고객 인터뷰
  • 데이터 분석
  • 테스트 운영
  • A/B 테스트

중요: 내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열린 마음! 🤗


🏃‍♂️ 실습: 내 주변 문제를 기획적으로 분석해보기

미션: 여러분이 일상에서 겪는 불편함을 하나 선택해서 기획적으로 접근해보세요!

Step 1: 문제 선택하기

예시:

  • 대중교통 환승이 복잡하다
  • 배달 음식을 주문할 때 선택이 어렵다
  •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이즈 선택이 헷갈린다
  • 친구들과 약속 장소 정하기가 힘들다

Step 2: 4단계로 분석하기

여러분의 선택한 문제: _________________

1. 문제 정의:

  • 진짜 문제는?
  • 누구의 문제인가?

2. 원인 분석:

  • 5 Why로 파보기
  • 여러 원인 찾아보기

3. 해결책 도출:

  • 최소 3가지 대안 생각하기
  • 단기/장기 구분하기

4. 실행 방안:

  •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 선택
  • 어떻게 실행할지 구체화

🧩 논리적 사고를 위한 꿀팁

1. 카테고리로 나누어 생각하기

  • 사용자 관점 / 사업자 관점 / 기술 관점
  • 비용 / 시간 / 인력 / 기술
  • 단기 / 중기 / 장기

2. 숫자로 생각하기

  • "많다/적다" → "구체적으로 몇 개?"
  • "빠르다/느리다" → "몇 분/몇 초?"
  • "비싸다/싸다" → "정확한 금액은?"

3. 우선순위 매기기

  • 중요도 × 시급함 매트릭스 활용
  • 비용 대비 효과 고려
  • 실행 가능성 평가

🎯 오늘의 핵심 메시지

"기획자처럼 생각한다는 것은
문제를 체계적으로 바라보고
논리적으로 해결책을 찾는 것"

처음엔 어색할 수 있어요. 하지만 연습하다 보면 자연스러워져요!

일상생활에서 작은 불편함을 발견할 때마다 **"왜 이럴까? 어떻게 하면 더 좋을까?"**를 자동으로 생각하게 될 거예요.


🚀 다음 편 예고

다음 편에서는 **"역기획으로 배우는 기획의 비밀"**을 다뤄볼게요!

  • 유튜브는 왜 광고를 5초 후에 스킵할 수 있게 했을까?
  • 배달의민족은 왜 그런 재미있는 카피를 쓸까?
  • 성공한 서비스들의 숨겨진 기획 의도 파헤치기!

여러분도 오늘 실습한 내용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. 서로의 생각을 나누면 더 많이 배울 수 있어요! 💪

기획적 사고, 하루하루 연습하다 보면 어느새 기획자 마인드가 될 거예요! 🌟

반응형

댓글